오 총괄님은 예술가와 스타트업 창업가 사이에 공통점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엔젤 투자자로서, 스타트업 팀원으로서, 스타트업 코치, 멘토로서 제가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시선과 스타트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해요.
미술가, 창업가 모두에게 늘 왜 이 작품, 이 서비스를 만들었지? 무슨 목적과 계기로 이 작품, 서비스를 만들었니? 라고 질문하게 되죠.
그리고 미술가나 스타트업의 대표, 창업가들이 모두 신나게 자기 작품이나 제품을 소개할 때 둘 다 이렇게 자신 안의 열정을 끄집어내, 어떤 목적을 이루고 그 과정에서 쾌감을 느끼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오 총괄님의 엔젤 투자자로서 스타트업들을 도와주고 지원했던 경험이, 초기 예술가들에게 기회를 주는 컬렉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오 총괄님을 미술품 컬렉팅의 세계로 이끈 첫 번째 작품은 이러한 그의 가치가 아주 잘 담겨 있는데요.
2007년, ‘하멜 표류기’로 유명한 하멜을 기념하기 위해 네덜란드에 설립된 하멜 재단이 한국정부와 함께 협력하는 프로젝트에 오 총괄님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한국에서 하멜 재단을 돕고 있던 몇 분들을 알게 되었는데 그 중 한 분이 모지선 작가님 이었다고 합니다.
모지선 작가님이 하멜 재단을 도와주고자 하는 동기와, 또 작가의 작품 활동을 후원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그렇게 오강록 총괄님이 모지선 작가님의 크로키 작품을 생애 첫 컬렉팅 작품으로 구입하게 되었죠.
흥미로운 것은 모지선 작가님이 예술가로서 한 작품을 탄생시키기 위해 겪었던 창작의 고통, 그리고 예술가로서 인정받지 못했던 순간, '실패'에 대한 그녀의 삶의 태도는 마치 창업가가 스타트업을 창업하면서 겪는 좌절, 성장과 매우 닮아 있었던 점이었습니다.
모지선 작가님의 수필에는 이런 글이 있습니다:
‘잘못된 선들에 대한 관용’. 조심스럽게 나의 그림철학과 연결을 지어보고 싶어진다.
벽처럼 커다랗고 순백처럼 깨끗한 화면 위에 처음 붓을 들어 점 하나를 찍으려면 나는 숨 막히는 고통과 두려움에 온몸에서 힘이 빠져나간다.
하지만 손때 묻고 지저분한 화면 위엔 거침없이 누구라도 ‘휙’하고 선을 그을 수가 있다.
그래 바로 이거다.
시행착오든 실패든 시도하지 않고는 어떤 것도 이루어질 수 없는 창작의 고통은 ‘실패를 극복하는 마음’이다.
어차피 실패하더라도 이름도 없고 의식도 없는 민초같은 선들이 와서 도와줄 거니까 하는 마음의 여유.
나는 이것을 ‘잘못된 선에 대한 관용’이라고 부른다.
모지선 작가님의 이야기는 그녀의 작품을 컬렉팅한 오강록 총괄님의 삶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어서" 인생에서 두려움마저도 껴안은 채 도전을 계속해왔던 오강록 총괄님.
창업했을 때는 직원들 월급을 밀리지 않기 위해 신용카드 4개로 단기 대출을 돌려막으면서 지냈던 시절도 있었다고 했죠.
그럼에도 오강록 총괄님은 자신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해본 적이 없다고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극복하지를 고민하기보다는, 일단 하자."
넓이로 살아온 자신의 삶을, 이제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어 주는 일로 더 넓혀 가는 스타트업씬의 한 미술 컬렉터의 말이었습니다.
"이 모든 세상에서 실패한 사람들에 대한 관용. 그 관용은 서로 용기를 주고 사랑을 주고 힘겹더라도 살아가는 힘을 만들어나간다."
-모지선 작가님의 수필 중-